기능성원료 평가의 동물대체시험 적용 가능성에 대한 고찰

기능성원료 평가의 동물대체시험 적용 가능성에 대한 고찰

 

기능성원료 평가의 동물대체시험 적용 가능성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alternative methods to animal experiment for health functional foods


논문정보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약어 : J. Appl. Biol. Chem.

2025, vol.68, 15

DOI : 10.3839/jabc.2025.015

발행기관 : 한국응용생명화학회

연구분야 : 농수해양학 > 농학 > 농화학


저자

조삼석 / Sam Seok Cho / Je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명제훈 / Jae Hoon Myung / Je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이금화 / Geum-Hwa Lee / Je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채한정 / Han-Jung Chae / Je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초록

윤리적 고려의 증가와 기술 발전으로 인해 건강기능식품의 평가에서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건강기능식품은 인체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제공하는 원료 또는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된 제품으로, 영양 보충, 생리 기능향상, 질병 위험 감소를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피부, 눈, 장 건강과 관련된 대체시험법의 현황과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피부 건강 평가에서는 재구성 인간 표피 모델 및 장벽막 시험(Corrositex 등)과 같은 in vitro 모델이 인간 피부 반응을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눈 건강 평가에서는 불멸화 망막색소상피세포주 및 각막 조직 배양법과 같은 in vitro 및 ex vivo 모델이 기존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유망한 방법으로 제시된다.

 

장 건강 평가는 Caco-2 세포 배양과 Ussing 챔버와 같은 in vitro 및 ex vivo 기법을 이용하여 영양소 흡수 및장 장벽 기능을 연구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대체시험법이 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도전 과제가 남아있다. 생물학적 상호작용의 복잡성, 시험법의 표준화 부족, 신뢰할 수 있는 검증 데이터 확보의 어려움이 주요 한계로 지적된다.

 

또한, 특정 기능성 평가 및 다성분 제품의 분석은 in vivo 환경을 정확히 재현하는 데 어려움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기능식품의 윤리적이고 과학적인 평가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지속적인 연구, 규제적 지원, 신뢰성 높은 표준화된 대체시험법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 논문정보 :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yahopet@naver.com